[주중한국대사관]소비 구조 고도화를 위한 정책 발표 전망 (5.9, 경제참고보)
ㅇ 경제참고보(5.9)가 다수 부처에서 확보한 정보에 따르면 중국은 연내 소비 진작을 위한 신 정책 및 조치를 제정·발표할 계획인 바, 신 정책 및 조치의 중점은 정보 소비 확대 및 첨단기술 제품 응용 추진 등이 될 것이라고 함.
- (정보 소비 확대) △연내 정보 소비 발전 가이드라인을 제정·발표하여 정보 소비 환경을 개선하고, △스마트 가전, 웨어러블 기기, 가상현실, 블록체인 등 인기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연구개발을 강화하며, △전자제품이 교통, 해양, 의료 등 분야에서 시범 응용되도록 할 계획
- (첨단기술 제품 응용 추진) △연내 신기술·신제품 응용 추진 리스트를 작성하고, △신에너지 자동차, 대형 크루즈, 스마트 선박, 청정 에너지 선박, 일반 항공산업 발전 지지에 관한 정책을 제정하며, △로봇, 민용 무인기, 3D프린팅 등 산업의 건강한 발전을 촉진할 계획
ㅇ 상무부 중산(鍾山) 부장은 중국은 이미 소비 규모가 세계 2위인 소비 대국이 되었으며, 경제 성장 모델이 투자·수출에 의존하던 모델에서 소비·투자·수출에 의존하는 모델로 전환되었다고 언급함.
- 현재 중국 사회의 주요 갈등은 발전의 불균형성, 불충분성으로 인해 더 나은 생활에 대한 국민들의 확대된 수요를 충분히 충족하지 못한 데서 기인하였으며, 상품, 서비스 공급이 업그레이드된 소비 수요를 만족하지 못하는 현상도 그 일례라고 지적
ㅇ 중국 건설은행 황즈링(黃志凌) 수석경제학자에 따르면 소비 구조의 고도화가 향후 중국 경제 발전의 가장 중요한 추진력인 바, 도시화가 심화 추진되며 도시로 이주한 농촌 가정의 가전 용품, 의료, 교통, 통신 등에 대한 수요 확대와 함께 의료 보건, 금융 서비스, 보험 등 서비스형 소비에 대한 수요도 한층 확대될 것으로 전망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