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하단 홈페이지정보 바로가기

뉴스레터

  • 홈
  • 비즈니스속보
  • 뉴스레터
게시물 상세보기
[주중한국대사관]국가통계국, 18년 2월 CPI 및 PPI 발표 (3.9, 국가통계국)
등록일 2018.03.14
[주중한국대사관]국가통계국, 18년 2월 CPI 및 PPI 발표 (3.9, 국가통계국)

ㅇ ’18.3.9 중국 국가통계국은 ’18년 2월 CPI(소비자 물가지수) 및 PPI(생산자 물가지수)를 발표한 바, CPI는 전월 대비 1.2% 상승, 전년 동기대비 2.9% 상승하였고, PPI는 전월 대비 0.1% 하락, 전년 동기대비 3.7% 상승함.

ㅇ (CPI) ’18년 2월 CPI의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 상승은 주로 작년과 달리 금년 춘절이 2월에 위치하여 발생한 기저효과에 기인하며, 춘절 전후 식품·서비스 가격이 전월 대비 상승한 것 역시 CPI 동기대비 증가율 상승에 영향을 주었음.

※ ’17년의 경우 춘절이 위치한 1월 CPI의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이 2.5%를 기록하였으나 2월 CPI 증가율은 0.8%에 그쳤던 바, ’18년 2월 비교 대상인 ’17년 2월 수치가 비교적 낮았음을 의미

ㅇ (PPI) ’18년 2월 PPI의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이 수개월째 지속 하락하고 있으며, 주요 업종 중 △비금속 광물 제조업, △비철 금속 제련·압연가공업, △석유·석탄 및 기타 연료 가공업, △비철 금속 제련·압연가공업, △화학원료 및 화학제품 제조업 등 5개 업종의 증가율이 하락함.

※ ’17년의 경우 1월 PPI의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이 6.9%를 기록, 2월 PPI 증가율은 7.8%를 기록

ㅇ 중국 교통은행 롄핑(連平) 수석 경제학자에 따르면 ’18년 2월 CPI 증가율이 ’17년 평균치인 1.6%를 훨씬 상회하였으나 여전히 정부 목표치인 3% 이하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향후 지속 상승 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물가가 금년 경제 운행의 걸림돌이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함.

- 또한 PPI의 경우 금년 증가율이 전년 대비 뚜렷이 하락할 것이나 마이너스 증가율이 나타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