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하단 홈페이지정보 바로가기

뉴스레터

  • 홈
  • 비즈니스속보
  • 뉴스레터
게시물 상세보기
[참고자료] 일본기업 중국시장 의존심리 약화 (영국 BBC 2014.8.18)
등록일 2014.08.25
일본 교도통신사(共同通信社)가 8월17일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본기업들은 아베 신조 정권이 중일•한일 외교전략 수립시 경제영향도 고려해 주기를 희망하지만, 중일•한일 관계 개선을 꼭 시급하게 추진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도 나타났다. 이는 일본기업들이 최근 수년간 중국 및 한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면서 분산투자를 진행한 결과, 일본기업들이 일본과 중국•한국 간의 관계 악화시 예전처럼 초조해 하지는 않게 되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교도통신사의 이 설문조사는 일본 106개 주요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는데, 자동차 및 가전 산업을 비롯하여 금융업, 화학공업, 운수업 등 거의 모든 업종이 포함되었고, 이들 기업 대부분은 중국•한국에서 경영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중 한 자동차기업은 설문조사에서 중일•한일 관계 악화에 대해 "경제교류에 영향을 주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답변하였고, 한 금융기업은 "시급하게 관계를 개선해야 할 필요까지는 없으나, 냉정한 판단으로 관계가 회복되기를 희망한다"고 답변하였다.

2001-2006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정권 때 발생했던 중일관계 악화는 "정랭경열(政冷經熱-정치는 냉담해도 경제는 뜨겁다)"이라고 불렸는데, 당시 일본기업들은 정부측에게 중국과의 관계를 조속해 개선해 달라고 요구했었다.

2012년 9월 일본이 댜오위다오를 "국유화"한 이후, 중국 각지에서 격렬한 반일시위가 발생하면서 중국에 투자한 일본기업들이 크고 작은 손실을 입었고, 중국내 일본기업 노동자들이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을 벌이는 사건이 거의 동시에 빈발하게 나타났다.

당시 일본에서 많은 분석가들은 반중시위가 투자자에게 근심이 되기는 하겠지만 이는 일시적 현상일 가능성이 높은데 비해, 중국의 인건비 상승으로 원가가 늘어나는 것이야말로 중국투자를 줄이지 않을 수 없는 근본원인이라고 지적했었다.

다른 측면으로, 동남아, 인도 등 아시아 각국은 적극적으로 일본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경제성장을 추진하였는데, 이들 국가는 일본과 영토나 역사적으로 큰 분쟁이 없었고, 인건비는 중국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지난해 일본투자자들에게 인기 있는 이슈는 중국에 집중된 투자를 캄보디아, 라오스 및 최근 민주화가 진행되고 있는 미얀마 등 저렴한 노동력을 보유한 아세안 지역에 분산함으로서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는 위험"에서 벗어난다는 것이었다. 현재 중일관계는 일본에게 있어서 "정치도 경제도 냉담한 상태(政冷經冷)"이다.

일본정부 산하 무역투자진흥기구인 JETRO가 작성한 《2014년판 JETRO 세계무역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의 지난해 해외투자는 5년 만에 최고인 1350억 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대비 10.4% 증가한 수치였다. 그중 아세안에 대한 해외투자는 사상최고인 236억 달러였고, 중국에 대한 투자는 전년대비 30% 감소한 91억 달러에 불과했다.

올해 일본에서는 중국의 거품경제가 붕괴될 것이라는 여론이 나타나고 있다. 올해 4월 일본의 국책연구소가 주관한 "중국경제 전망 및 중일관계" 세미나에서 "중국의 거품경제가 파멸을 맞이할 것"이라는 견해가 주류를 이루었다.

세미나 발표자였던 구마가이 미쓰마루(熊谷亮丸) 다이와종합연구소(大和總硏)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경제가 단기적으로는 유지될 수 있겠지만 3년에서 5년 이내에 붕괴가 시작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